[CA] ‘킹달러’ 지속으로 캐나다 달러도 원화대비 강세 추세
페이지 정보
본문
미 달러대비 원화 환율이 올해 1,300원선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당초 연말로 갈수록 달러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할 것이라는 분석이 무색할 만큼 중장기 전망이 변한 것인데 한인 비즈니스 업계도 달라진 시장에 적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캐나다 달러도 원화대비 강세를 보인다.
지난 6월 중순 960원 대 였던 캐나다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3개월 간 등락을 거듭하다 17일 현재 약 7% 올라 983.34원을 기록 중이다.
캐나다 달러 환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미국 통화와 재정 정책이다. 또한 한국의 경기 부진과 중국발 부동산 악재 그리고 경제회복을 위한 일본의 의도적인 엔저 정책까지 맞물리면서 상대적으로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과 캐나다 달러의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14일 서울외환시장에서 美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4.3원 내린 1,325.7원에 마감했다. 이날은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대비 3.7%로 시장 예상치(3.6%)를 웃돌게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경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란 해석이 나오면서 환율이 소폭 하락했다.
당초엔 연준이 긴축 속도를 조절하면서 달러 환율이 하락 전환해 작년 연말에는 1,200원대 후반까지 밀리면서 올해에도 지속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았었다. 그런데 정작 연말이 다가온 지금에는 1,300원 위에서 재상승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실제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올해 1,300원 선이 유지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 상황이다. 노무라와 웰스파고, 뱅크오브아메리카, HSBC, RBC 등이 원·달러 환율 전망치를 높게 보고 있는데 예상 밴드는 1,320~1,345원 선이다.
미 달러 강세·원화 약세의 이유로는 한국 수출의 부진이 꼽힌다. 기본적으로 통화 가치는 해당 국가의 경제력에 기반하는데 한국 경제의 바로미터인 수출이 예상보다 크게 나쁜 상황이라 반전 모멘텀이 밀리고 있는 것이다.
북미 한인 비즈니스 업계는 원·달러 상승(달러 강세)이 전반적으로 반가운 상황이다. 달러로 한국 상품을 사와서 캐나다 등 북미에 파는 무역업체들이 많은데 달러 가치가 올라가면 전보다 더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들여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무역업체들의 경우 향후 원·달러 환율이 떨어질 것을 우려한다면 지금이 적절한 물건 구매 타이밍일 수 있다. 관광 업계의 경우에도 북미 한인들이 한국에 여행을 갈 때 더 부담 없이 소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행객 증가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다만 반대로 원화를 달러로 환전해 캐나다에서 살아야 하는 유학생이나 주재원들에게는 부정적이다. 송금하는 부담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에서 캐나다로 여행을 오는 관광객의 수요에도 악재가 될 수 있다.
[기사출처:토론토한국일보]
교차로
- 이전글NASA, 기상관측 이래 올여름 가장 더워 23.09.18
- 다음글[CA] ‘킹달러’ 지속으로 캐나다 달러도 원화대비 강세 추세 23.09.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