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자제품에 관세 면제… 빅테크 숨통
페이지 정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145%에 달하는 ‘상호 관세(reciprocal tariffs)’ 적용에서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주요 전자제품을 제외한다고 지난 금요일 늦게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애플, 삼성, 엔비디아(Nvidia) 등 주요 글로벌 기술 기업은 물론, 소비자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세관국경보호청(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은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 드라이브, 평판 모니터, 일부 반도체 칩 등은 이번 관세에서 면제 대상”이라며, “반도체 생산 장비도 포함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들 품목은 중국에 부과된 145% 관세나 다른 국가에 적용되는 10% 기본 관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번 면제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 중인 글로벌 관세 재편 정책의 일환이지만, 아시아 중심의 글로벌 전자제품 공급망 현실을 인정한 ‘유턴’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증권사 웨드부시(Wedbush Securities)에 따르면, 전 세계 아이폰의 약 90%는 중국에서 생산 및 조립되고 있다.
웨드부시의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Dan Ives)는 리서치 노트에서 “이번 면제 조치는 기술 업계에 드리웠던 거대한 먹구름을 걷어낸 것”이라며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받던 압박을 다소 완화시켜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국 내 제조업 부활을 위해 전방위 관세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이전에도 일부 기업에 대한 예외 적용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전자제품 면제는 첨단 기술 제품 대부분이 해외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산업 현실과 맞닿아 있다.
토요일 오전까지 애플과 삼성은 언론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고, 엔비디아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백악관 또한 공식 논평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이번 조치는 당장 소비자 전자제품 가격 상승 우려를 줄이고, 기술 산업의 혼란을 일부 진정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미국 내 생산체계 전환이라는 행정부의 목표 달성에는 여전히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밴쿠버교차로
- 이전글전쟁 피해 우크라이나 가족, 캐나다서 백혈병 투병 중인 아들 위해 ‘사투’ 25.04.12
- 다음글트럼프 행정부, 스마트폰·노트북 등 전자제품에 관세 면제… 빅테크 숨통 25.04.1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