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산 캐나다구스 ‘울상’…동남아 공장 둔 룰루레몬 ‘안도’
페이지 정보
본문
Lululemon과 Canada Goose는 캐나다를 기반으로 한 두 대표적인 글로벌 브랜드이지만, 생산 전략과 무역 정책에 대한 대응 방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최종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다.
Lululemon은 대부분의 제품을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하고 있다. 증권 공시에 따르면, Lululemon의 운동용 장비 중 약 90%가 베트남, 캄보디아, 스리랑카,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에서 제조되고 있다.
이들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의 무역 조치로부터 자유로웠지만, 향후 정세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Lululemon은 캐나다에서의 생산을 거의 하지 않으며, 멕시코와 중국에서의 생산도 극히 제한적이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무역 관세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반면, Canada Goose는 캐나다 내에서의 생산 비중이 높다. 이 회사는 자사 제품의 약 70%를 캐나다에서 생산하며, 특히 다운 코트는 거의 전량 캐나다 내에서 제조된다.
Canada Goose는 온타리오, 매니토바, 퀘벡 등에 7개의 제조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캐나다 봉제 산업의 약 20%를 고용하고 있다.
이 회사는 해외로 생산 시설을 이전할 계획이 없음을 분명히 했는데, 이는 직원들의 전문성과 장인 정신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Canada Goose의 이러한 전략은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하고, 브랜드의 명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국이 캐나다에 부과하는 관세는 두 회사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Lululemon은 아시아에서의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는 반면, Canada Goose는 캐나다 내 생산 비중이 높아 관세 부과로 인한 비용 증가가 제품 가격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Canada Goose의 남성용 익스페디션 파카 가격은 2018년 1,050달러에서 현재 1,675달러로 상승했다. 이는 브랜드의 명품 이미지와 함께 생산 비용의 증가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두 회사의 생산 전략은 각각의 브랜드 철학과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치를 반영하고 있다. Lululemon은 글로벌 공급망을 활용해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반면, Canada Goose는 캐나다 내 생산을 고수하며 제품의 품질과 브랜드 가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소비자에게 제품의 가격과 품질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며, 각 브랜드의 시장 전략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Lululemon과 Canada Goose의 생산 전략은 각각의 브랜드 정체성과 시장 접근 방식을 반영하며, 이는 최종 소비자에게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무역 정책의 변화와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라 두 회사의 전략은 지속적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다.
밴쿠버교차로
- 이전글B.C., 2019년 영구 섬머타임 결정했지만…이번 일요일도 시계 앞당긴다 25.03.08
- 다음글국내 생산 캐나다구스 ‘울상’…동남아 공장 둔 룰루레몬 ‘안도’ 25.03.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