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재, 그리고 재담과 발탈 > 컬럼

본문 바로가기
미주지역 바로가기 : Calgary/EdmontonChicagoDallasDenverHouston,    TorontoVancouverHawaiiLANYSeattle

컬럼

문화·교육 박춘재, 그리고 재담과 발탈

페이지 정보

본문

임방울, 이동백, 이화중선, 정정렬, 김창환… 이들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전설적인 명창들인데 아직도 이들의 팬들이 많아서, 소리와 행적을 연구하기도 하고, 유성기 음반을 수집하고, 또한 다시 복각해서 CD로 만들어내기도 한다. 나 또한 지금의 판소리와는 달리, 무게가 느껴지고 담백한 이들의 소리를 무척 좋아한다. 판소리나 민요가 유행가였던 시절, 이들은 지금의 인기스타에 견줄만한 인기를 누리던 명창들이었다. 그렇다면 이 시대에 문화의 중심지였던 ‘서울의 소리’로 사랑 받던 명창은 누구였을까?

이런 질문을 하면 많은 이들이 ‘박춘재’라는 이름을 먼저 떠올릴 것이다. 박춘재는 1910년대에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명창으로 경기소리는 물론 서도 소리의 대가였으며 가곡과 가사, 시조에도 능했다 한다. 박춘재는 1883년경에 태어났으며 1950년에 작고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가무별감(歌舞別監)’을 지내기도 했다. ‘가무별감’이란 임금의 곁에서 음악을 선보여서 임금을 위로하는 직책을 뜻한다. 박춘재는 장구와 장대장타령, 병신타령과 같은 재담소리와 굿놀이를 무대화하기도 했고 또한 많은 음반을 취입했으며 특히 제자들을 많이 육성해서 경서도 소리의 맥을 이었다. 박춘재 명창이 얼마나 유명했으면 그와 관련된 실화에서 생겨난 속담도 있다. 우리 나라에 처음으로 유성기가 들어 왔을 때의 일이다. 고종 황제는 어전에 원통식 녹음기를 설치하게 했고 박춘재를 불러 나팔통에 입을 대고 소리를 하게 한다. 그리고 그후 유성기에서 박춘재의 소리가 다시 흘러나오자 고종은 깜짝 놀라며 “춘재야, 네 수명이 십 년은 감했겠구나”라고 했다한다. ‘십년 감수’라는 말이 바로 여기서 시작된 것이다. 박춘재는 미국 시카고에 가서 공연을 하기도 했다. 1895년 6월에 열린 ‘만국박람회’에 참가해서 한국사람으로는 처음으로 미국 빅터 레코드사에서 녹음을 했으며 1906년에는 빅터 레코드사의 초청으로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경기잡가인 적벽가를 취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춘재의 상대역으로 소리와 재담을 하면서 한 때를 풍미한 명창도 있다. 바로 ‘문영수’이다. 문영수는 평양에서 태어났는데 그가 어려서 어디서 누구에게 소리를 배웠는지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같은 평양태생인 이정화와 함께 소리패의 우두머리로 활약 하다가 1910 경에 서울로 와서 광무대, 단성사 등에게 활동을 했다하고 이 때, 서도 입창과 재담 등을 맛깔스럽게 선사해 청중에게 즐거움을 주곤했다.

그렇다면 박춘재 문영수가 짝을 이뤄 불렀다는 재담이란 어떤 것일까? ‘재담’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익살과 재치를 부리며 재미있게 이야기함. 또는 그런 말』이라 돼 있다. 따라서 재담소리는 익살과 재치가 있는 재미있는 노래를 뜻하며 구전으로 전해져 오는 우스갯소리를 노래로 전달하는 것이 재담소리라 말하는 이도 있다. 우리 민족은 유달리 재담을 좋아했는데, 재담과 관련된 최초의 기록은 고려 문종 때에 편찬된  ‘수이전’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재담은 우리 민족의 기원과 그 역사를 같이 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그런데 수많은 재담가들은 이름조차 제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는 반면 박춘재만은 생생한 목소리와 아직도 기억되고 있다.

그 이유는 박춘재가 재담을 질적으로 한 단계 상승시켰기 때문이며 따라서 박춘재는  ‘근대 코미디’의 서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박춘재는 재담을 가지고 광무대와 단성사 같은 실내극장에서 입장료를 받고 공연을 했던 일종의 연애인이기도 했다. 따라서 어떤 이는 박춘재를 최초의 연예인, 혹은 근대적인 의미의 최초 코미디언이라 말하기도 한다.

박춘재의 작품 중 가장 빼어난 작품이 ‘발탈’이었다 말하는 이도 있다. 발탈은 탈을 발바닥에 씌워서 노는 탈놀이다. 발바닥에 탈을 씌우고 발목을 전후좌우로 움직이고, 제자리에서 떨고, 순간적으로 발을 끄덕거려서 웃거나 화가 난 표정 등을 연출하게 되는데, 연희자는 누워서 발목만을 무대 밖으로 내놓게 되며, 인형의 팔은 노끈으로 연결해서 당기거나 놓으면서 조종을 한다.

생각만 해도 참으로 흥미 있고 재미난 모습이다. 발탈은.. 하지만 발탈을 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 전승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이다. 발탈은 현재 중요무형문화재 제 79호로 지정이 돼 있지만 보유자였던 이동안 명인(박춘재의 제자)은 작고를 하셨다 하고, 그 뒤를 누가 이어가고 있는지 궁금할 뿐이다.

‘전통의 재창조’가 시도돼야 할 것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재담’이 있어서 재미를 줄 수 있고 발에 탈을 씌우고 노는 독특한 공연양식을 가지고 있는 발탈이야말로 재조명 돼야 하는 우리의 공연형식이라는 생각을 하게된다. 영화 ‘왕의 남자’이후 줄타기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진 것을 보면, 우리의 역사 속에 숨어 있는 전통 연희를 하나씩 재검토하고 재창조하는 것이 전통을 지켜가는 것만큼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박근희(국악칼럼리스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Login

회원가입
이번호 신문보기 더보기

회사소개(KOR) | 광고&상담 문의
디스타임
5505A 4TH STREET SE. Calgary AB T2H1K8
TEL. 403.804.0961 | E-MAIL. 1995@thistime.ca
Copyright © 디스타임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or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팝업레이어 알림